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예술작품 공간

전시

2025 대구아트웨이 기획전시 3부 묵혀둔 대화

전시메인이미지

전시메인이미지

방나교_민화

방나교_민화

금영숙_회화

금영숙_회화

윤진초&알렉산더루쓰_조각

윤진초&알렉산더루쓰_조각

김태연_지화

김태연_지화

전시메인이미지
방나교_민화
금영숙_회화
윤진초&알렉산더루쓰_조각
김태연_지화
2025 대구아트웨이 기획전시 3부 묵혀둔 대화

전시개요

전 시 명: 묵혀둔 대화

전시기간: 2025. 9. 1.()~10. 31.()

전시장소: 대구아트웨이 기획전시실2~4

참여작가: 5(김태연, 방나교, 금영숙, 윤진초·알렉산더 루스)

작품장르: 공예·민화·회화·설치

 

인간은 오랜 시간,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와 교감해 왔다. 신화와 의례, 상징과 형상은 그런 정신적 교류의 산물이자, 생존을 위한 지혜의 축적이었다. 이 전시는 전통의 깊은 뿌리에서 현대 예술의 언어를 끌어올린 네 명의 작가를 통해, 시간과 존재의 본질을 새롭게 사유하고자 한다.

묵혀둔 대화는 사라져가는 전통기술, 고대적 상징, 생명 순환에 대한 근원적 통찰을 현대 조형 언어로 풀어내는 자리이다. 네 작가는 과거의 유산을 단순히 재현하지 않는다. 그들은 잊힌 전통의 정신성과 생명력을 현재의 시공간으로 소환하여, 그것이 동시대와 대화하는 살아 있는 예술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김태연은 전통 지화(紙花)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굿과 불교의례에 사용된 꽃들, 궁중에서 탄생한 상화들이 그의 손끝에서 오늘의 대화 상대가 된다. 그의 작업은 단순한 기술의 계승이 아니라, 그것이 현대적 맥락에서 어떻게 재생될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방나교는 연꽃과 고양이를 상징적 도상으로 활용해, 인간과 자연, 삶과 죽음이 유기적으로 얽힌 우주의 질서를 이야기한다. 검은 화면 위에 피어나는 형상들은 고요하지만 밀도 높은 존재감을 드러내며, 신화적 서사와 생태적 감각이 교차하는 시적 공간을 만든다.

금영숙은 동양 회화의 핵심 미학인 기운생동을 현대적 언어로 재해석한다. 그녀의 선과 여백은 물리적 형상을 넘어 보이지 않는 생명의 흐름과 존재의 기운을 드러낸다. 이는 전통 미학의 재현이 아니라, 그 생명력을 동시대 안에서 되살리는 시도이다.

윤진초는 곰과 모성이라는 원형적 형상을 통해, 신화와 창조, 생명의 근원을 탐구한다. 퀼트와 소프트 조각을 결합한 작업은 따뜻하고 감각적인 조형 언어로, 여성성과 가족, 생명의 본질을 직관적으로 환기시킨다.

이번 전시는 전통의 표피를 더듬는 데 그치지 않고, 그 내면의 정신적 토대를 다시 묻는다. 그것은 기억보다 오래되고, 감각보다 깊은 차원의 것이다. 그리고 여전히 오늘, 이곳에서 살아 숨 쉬며 우리에게 말을 건넨다

전시연계체험프로그램

1. 작가와의 만남

  • 일시: 2025. 9. 12.(금) 19:00

  • 장소: 대구아트웨이 이음서재

  • 사회: 방나교

  • 내용: 작가별 작업과 전시 작품에 대한 심도 있는 대화


2. 조선의 꽃, 지화 명인에게 배우다

  • 일시: 2025. 9. 20.(토), 10. 18.(토) 14:00

  • 장소: 기획전시실1

  • 교육진행: 김태연, 방나교

  • 대상: 어린이·가족 단위, 일반 시민

  • 내용: 지화 명인과 함께하는 궁중상화 만들기 및 전통 이야기


3. 손으로 잇는 이야기: 조선의 방

  • 운영기간: 전시 기간 상시

  • 대상: 누구나 참여 가능

  • 내용:

    • 리뉴얼된 기획전시실1에서 김태연 작가 지화를 활용한 대형 전통 지화 포토존 체험

    • 시민 참여형 지화 공동 창작 공간 운영

    • 체험 활동: 지화 꽃잎 꾸미기, 전통 곰 모양 그리기, 묵 선 긋기 등


4. 꽃이 된 순간

  • 일시: 9. 20.(토), 10. 18.(토) 16:00

  • 운영방식: 사전 접수제(회차당 6팀)

  • 소요시간: 1팀당 약 10~15분

  • 대상: 가족·개인 누구나 참여 가능

  • 내용:

    • 한복 착용 후 전통 포토존에서 전문 사진작가 촬영 및 현장 인화(1매 제공)

    • 전통 지화와 궁중상화로 구성된 ‘조선의 방’에서 특별한 사진 체험

대구아트웨이 협력기관

  • 대구광역시
  • 대구문화예술진흥원
  • 대구예술인지원센터
  • 대구생활문화센터
  • 대구공연예술연습공간
  • 한국예술인복지재단
  • 예술경영지원센터